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(개발준비) 18 - 정보처리기사 시험준비 (20.09.26)
    개발/개발준비 2023. 7. 8. 18:09

    9. DFD(data flow diagram)에 대한 설명으로 틀린 것은?
         
         1. 자료 흐름 그래프 또는 버블(bubble) 차트라고도 한다.
         2. 구조적 분석 기법에 이용된다.
         3. 시간 흐름을 명확하게 표현할 수 있다.
         4. DFD의 요소는 화살표, 원, 사각형, 직선(단선/이중선)으로 표시한다.

         정답 : [3]
         정답률 : 63%
          <문제 해설>


    DFD는 시간 흐름을 명확하게 표현할 수 없다
    자료에 대한 흐름을 표현하며 구조적 분석기법에 이용된다.
    요소는 화살표, 원 , 직선으로 표시한다.
    [해설작성자 : comcbt.com 이용자]

     

    [정보처리기사] 데이터 흐름도 - DFD(Data Flow Diagram)의 개념, 구성요소 — 개발자 데비너스의 개발일지 (tistory.com)

     

    [정보처리기사] 데이터 흐름도 - DFD(Data Flow Diagram)의 개념, 구성요소

    1. 데이터 흐름도 - DFD(Data Flow Diagram)의 개념 데이터 흐름도(DFD)는 시스템 구성요소인 프로세스와 프로세스 간 데이터 흐름을 표현하는 주요 도구 자료 흐름 그래프 또는 버블(bubble) 차트라고 부

    devinus.tistory.com

     

    11. UML의 기본 구성요소가 아닌 것은?
         
         1. Things
         2. Terminal
         3. Relationship
         4. Diagram

         정답 : [2]
         정답률 : 68%
          <문제 해설>
    UML의 구성요소로는 사물, 관계, 다이어그램 3가지로 이루어져있으며,
    Things은 사물, Relationship은 관계, Diagram은 다이어그램입니다.
    [해설작성자 : 남태우]

    UML은 띵다리~로 외우세요
    [해설작성자 : 소다]

    UML은 뒷다리로 쏙~♬외우세요 팔딱팔딱 개구리 됐네~~
    뒷(Thing)
    다(Diagram)
    리 Relationship)
    [해설작성자 : 팁으로 외우자]

     

    13. 다음 중 자료사전(Data Dictionary)에서 선택의 의미를 나타내는 것은?
         
         1. [ ]
         2. { }
         3. +
         4. =

         정답 : [1]
         정답률 : 78%
          <문제 해설>
    = 정의
    + 구성
    [] 택일
    {} 반복
    () 생략가능
    ** 설명
    [해설작성자 : 나도 합격하고싶다]

    = : 자료의 정의(~로 구성되어 있다)
    + : 자료의 연결(그리고)
    () : 자료의 생략(생략 가능한 자료)
    [] : 자료의 선택(또는) ex) [ A | B | C ]
    {} : 자료의 반복
    * * : 자료의 설명(주석)
    [해설작성자 : 도라예몽]

     

    15. 요구 사항 명세기법에 대한 설명으로 틀린 것은?
         
         1. 비정형 명세기법은 사용자의 요구를 표현할 때 자연어를 기반으로 서술한다.
         2. 비정형 명세기법은 사용자의 요구를 표현할 때 Z 비정형 명세기법을 사용한다.
         3. 정형 명세기법은 사용자의 요구를 표현할 때 수학적인 원리와 표기법을 이용한다.
         4. 정형 명세기법은 비정형 명세기법에 비해 표현이 간결하다.

         정답 : [2]
         정답률 : 70%
          <문제 해설>
    정형 명세법
    - 수학적 기반/모델링 기반
    - Z, VDM, Petri-Net(모형기반)
    - CSP, CCS, LOTOS(대수적방법)
    - 시스템 요구특성이 정확하고 명세가 간결하다. 명세와 구현이 일치.
    - 그러나 이해도가 낮으며 이해관계자의 작성 부담 가중.

    비정형명세
    - 상태, 기능, 객체 중심 명세법
    - FSM(Finite state machine)
    - Decision Table, ER모델링
    - State chart(SADT)
    - UseCase : 사용자기반모델링
    - 명세 작성이 간편하고 의사전달 방법이 다양하다.
    - 불충분한 명세가능성, 모호성.
    [해설작성자 : paraeism]

    요구사항 명세 기법은 정형 명세와 비정형 명세로 나뉜다.
    정형 명세기법의 특징
    1. 수학적 기호, 정형화된 표기법으로 작성
    2. 정확하고 간결하게 표현할 수 있지만 표기법이 어려워 사용자가 이해하기 어렵다.
    3. 일관성이 있다.

    비정형 명세기법의 특징
    1. 일반 명사, 동사 등의 자연어를 기반으로 작성한다.
    2. 이해가 쉽다.
    3. 일관성이 떨어진다.
    [해설작성자 : 돌밍이]

     

    29. 인터페이스 구현 검증 도구가 아닌 것은?
         
         1. ESB
         2. xUnit
         3. STAF
         4. NTAF

         정답 : [1]
         정답률 : 61%
          <문제 해설>
    인터페이스 구현 검증 도구에는
    xUnit, STAF, FitNesse, NTAF, Selenium, Watir 이 있다.
    [해설작성자 : 정보처리지기]

     

    35. 빌드 자동화 도구에 대한 설명으로 틀린 것은?
         
         1. Gradle은 실행할 처리 명령들을 모아 태스크로 만든 후 태스크 단위로 실행한다.
         2. 빌드 자동화 도구는 지속적인 통합개발환경 에 서 유용하게 활용된다.
         3. 빌드 자동화 도구에는 Ant, Gradle, Jenkins등이 있다.
         4. Jenkins는 Groovy 기반으로 한 오픈소스로 안드로이드 앱 개발 환경에서 사용된다.

         정답 : [4]
         정답률 : 64%
          <문제 해설>
    빌드 자동화 도구
    - 빌드를 포함하여 테스트 및 배포를 자동화하는 도구
    - Ant, Make, Maven, Gradle, Jenkins 등이 있음

    Jenkins
    - JAVA 기반의 오픈소스 형태
    - 서블릿 컨테이너에서 실행되는 서버 기반 도구
    - 친숙한 Web GUI 제공
    - 분산 빌드나 테스트 가능

    Gradle
    - Groovy를 기반으로 한 오픈 소스 형태
    - 안드로이드 앱 개발 환경에서 사용
    - 행할 처리 명령들을 모아 태스크(Task)로 만든 후 태스크 단위로 실행
    [해설작성자 : 도라예몽]

     


    36. 저작권 관리 구성 요소에 대한 설명이 틀린 것은?
         
         1. 콘텐츠 제공자(Contents Provider) : 콘텐츠를 제공하는 저작권자
         2. 콘텐츠 분배자(Contents Distributor) : 콘텐츠를 메타 데이터와 함께 배포 가능한 단위로 묶는 기능
         3. 클리어링 하우스(Clearing House) : 키 관리 및 라이선스 발급 관리
         4. DRM 컨트롤러 : 배포된 콘텐츠의 이용 권한을 통제

         정답 : [2]
         정답률 : 71%
          <문제 해설>
    콘텐츠 분배자 - 암호화된 콘텐츠를 유통하는 곳 또는 사람
    패키저 - 콘텐츠를 메타 데이터와 함께 배포 가능한 형태로 묶어 암호화
    [해설작성자 : 오뎅민]

    콘텐츠 제공자(Contents Provider)
    - 콘텐츠를 제공하는 저작권자

    콘텐츠 분배자(Contents Distributor)
    - 암호화된 콘텐츠를 유통하는 곳이나 사람 (플레이 스토어, 앱스토어 생각하면 될 듯)

    클리어링 하우스(Clearing House)
    - 저작권에 대한 사용 권한, 라이센스 발급, 암호화된 키 관리, 사용량에 따른 결제 관리 등을 수행

    DRM 컨트롤러(DRM Controller)
    - 배포된 콘텐츠의 이용권한을 통제하는 프로그램

    패키저(Packager)
    - 콘텐츠를 메타 데이터와 함계 배포 가능한 형태로 묶어 암호화하는 프로그램
    [해설작성자 : 그냥대 융티]

     

    46. 개체-관계 모델의 E-R 다이어그램에서 사용되는 기호와 그 의미의 연결이 틀린 것은?
         
         1. 사각형 - 개체 타입
         2. 삼각형 - 속성
         3. 선 - 개체타입과 속성을 연결
         4. 마름모 - 관계 타입

         정답 : [2]
         정답률 : 87%
          <문제 해설>
    - 역삼각형으로 주로 사용되며 ISA 관계(상하 관계를 가지는 관계)를 표현한다.
    - 관계 실선으로 연결하여 표현한다.
    - 상위 개체 타입: 슈퍼 클래스, 역삼각형의 위에 위치
    - 하위 개체 타입: 서브 클래스, 역삼각형의 아래에 위치
    [해설작성자 : 정보처리지기]

    속성 - 타원형
    [해설작성자 : 지나가다]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48. 릴레이션에 있는 모든 튜플에 대해 유일성은 만족시키지만 최소성은 만족시키지 못하는 키는?
         
         1. 후보키
         2. 기본키
         3. 슈퍼키
         4. 외래키

         정답 : [3]
         정답률 : 73%
          <문제 해설>
    - 후보키(Candidate Key) : 릴레이션을 구성하는 속성 중 튜플을 유일하게 식별하기 위한 기본키로 사용할 수 있는 속성들을 뜻한다.

    - 기본키(Primary Key) : 후보키 중에서 선택된 주키(Main Key)이다.

    - 슈퍼키(Super Key) : 한 릴레이션 내에 있는 속성들의 집합으로 구성된 키이다. 슈퍼키는 릴레이션에 있는 튜플에 대해 유일성을 만족시키지만, 최소성은 만족 시키지 못한다.

    - 외래키(Foregin Key): 관계를 맺고 있는 릴레이션 R1, R2에서 릴레이션 R1이 참조하고 있는 릴레이션 R2의 기본키와 같은 R1릴레이션의 속성 말한다.
    [해설작성자 : 정보처리지기]

    [SQL] 키(슈퍼키,대체키,후보키,기본키,외래키) (tistory.com)

     

    [SQL] 키(슈퍼키,대체키,후보키,기본키,외래키)

    * 키(Key) - 열쇠는 무언가를 열거나 잠글 때 사용하는 것으로, 같은 것이 하나도 없다. 우리집 열쇠가 옆집의 열쇠랑 다르듯이 말이다. - 이와 같이 키라는 것은 무언가를 식별하는 고유한 식별자(

    jerryjerryjerry.tistory.com

     

    59. 한 릴레이션 스키마가 4개 속성, 2개 후보키 그리고 그 스키마의 대응 릴레이션 인스턴스가 7개 튜플을 갖는다면 그 릴레이션의 차수(degree)는?
         
         1. 1
         2. 2
         3. 4
         4. 7

         정답 : [3]
         정답률 : 73%
          <문제 해설>
    릴레이션에서 차수(degree)는 속성의 수를 말합니다.
    [해설작성자 : 오씨]

    스키마 : 속성(attribute)의 집합 = 열
    인스턴스 : 튜플의 집합 = 행,레코드
    속성의 개수 = 차수
    튜플의 개수 = 카디날리티(cardinality)
    [해설작성자 : comcbt.com 이용자]

     

    76. UDP 특성에 해당되는 것은?
         
         1. 데이터 전송 후, ACK를 받는다.
         2. 송신 중에 링크를 유지 관리하므로 신뢰성이 높다.
         3. 흐름제어나 순서제어가 없어 전송속도가 빠르다.
         4. 제어를 위한 오버헤드가 크다.

         정답 : [3]
         정답률 : 70%
          <문제 해설>
    UDP (User Datagram Protocol) - TCP/IP의 전송계층 프로토콜
    - 비연결성 서비스 제공
    - 단순한 헤더구조로 오버헤드 적음
    - 사용하는 경우 : 빠른속도로 전송 요구시, 동시에 여러 사용자에게 데이터 전달시 , 반복적 전송
    - 실시간 전송에 유리 , 신뢰성보다는 속도가 중요시 되는 네트워크에 사용
    [해설작성자 : mks]

    2. 송신 중에 링크 유지 관리로 신뢰성이 높다는 내용은 TCP에 관한 설명임
    [해설작성자 : 무역학과]

    1. 데이터 전송 후 ACK를 받는다 - TCP에 관한 설명
    [해설작성자 : 자발개]

     

     

    [TCP/UDP] TCP와 UDP의 특징과 차이 - MangKyu's Diary (tistory.com)

     

    [TCP/UDP] TCP와 UDP의 특징과 차이

    오늘은 네트워크의 계층들 중 전송 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. 전송계층은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하는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으로, 쉽게 말해 데이터의

    mangkyu.tistory.com

     


    78. TCP/IP에서 사용되는 논리주소를 물리주소로 변환시켜 주는 프로토콜은?
         
         1. TCP
         2. ARP
         3. FTP
         4. IP

         정답 : [2]
         정답률 : 72%
          <문제 해설>
    인터넷 계층의 프로토콜
    - IP : 데이터 주소를 지정하고 경로 설정
    - ICMP : IP와 조합하여 통신중의 오류처리와 전송 경로 변경등을 위한 제어 메세지 관리
    - IGMP : 멀티캐스트를 지원하는 호스트나 라우터 사이에서 멀티캐스트 그룹유지를 위해 사용
    - ARP : 호스트의 IP주소를 네트워크 접속 장치의 물리적 주소로 변환 ★
    - RARP : ARP 반대 (물리적 주소를 IP 주소로 변환)
   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    TCP 는 전송계층 프로토콜
    FTP 는 응용계층 프로토콜
    [해설작성자 : mks]

     

Designed by Tistory.